본문 바로가기

코인 종류와 테마 분류

ukiki 2024. 11. 16.

▢ 레이어1 코인 (Layer 1 Coins)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기본 레이어로

다른 애플리케이션이나 스마트 계약이 작동하는 기반 플랫폼. 높은 확장성과 보안을 목표로 함.

솔라나 (SOL), 아발란체 (AVAX) , 에이다 (ADA), 수이 (SUI), 이더리움 (ETH), 트론 (TRX), 리플 (XRP), 세이 (SEI), 앱토스 (APT), 체인링크 (LINK) ,니어프로토콜 (NEAR), 알고랜드 (ALGO), 폴카닷 (DOT), 비트코인캐시 (BCH), 톤 (TON), 인젝티브 (INJ), 헤데라 (HBAR), 제타체인 (ZETA), 너보스 (CKB), 그래비티 (GRV)

 

▢ 레이어 2 코인 (Layer 2 Coins)

레이어 1 블록체인의 확장성을 개선하기 위한 프로토콜로, 주로 트랜잭션 속도를 높이고 비용을 낮추는 데 중점.

폴리곤 (MATIC), 맨틀 (MNT), 아비트럼 (ARB), 옵티미즘 (OP), 스타크넷 (STRK), 블라스트 (BLST), 오미세고 (OMG), 신세틱스 (SNX)

 

▢ 밈 코인 (Meme Coins)

인터넷 밈이나 커뮤니티 유행에 따라 만들어진 암호화폐로, 실용성보다는 커뮤니티와 투기적 요인이 강함.

도지코인 (DOGE), 시바이누 (SHIB), 캣인어독스월드 (CATDOG), 페페 (PEPE), 플로키 (FLOKI), 봉크 (BONK), 팝캣 (POPCAT), MAGA, Brett, GOAT, Neiro, 무뎅 (MUDENG)

▢ 스테이블코인 (Stablecoins)

법정 화폐에 가치를 고정시켜 가격 변동성을 최소화하려는 암호화폐.

테더 (USDT), USD코인 (USDC), USDS, 다이 (DAI), USDe

▢ 디파이 코인 (DeFi Coins)

탈중앙화된 금융 생태계에서 사용되는 코인으로, 대출, 스테이킹, 거래소 등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블록체인 상에서 제공.

체인링크 (LINK), 에이브 (AAVE), 유니스왑 (UNI), 인젝티브 (INJ), 펜들 (PENDLE), 수이 (SUI), 1인치 네트워크 (1INCH), 주피터 (JUP), 카바 (KAVA), 앵커 (ANKR), 피스네트워크 (PSC), 제로엑스 (ZRX), 솔라 (SXP), 스택스 (STX), 저스트 (JST), 카이버 네트워크 (KNC)

▢ 실물자산 연계 토큰 (RWA - Real World Asset Tokens)

주식, 부동산 같은 실제 자산의 가치를 토큰에 연동하여 블록체인에서 거래할 수 있도록 만든 암호화폐.

온도 (ONDO), 폴리매쉬 (POLY), 크레딧코인 (CTC), 체인링크 (LINK), 신세틱스 (SNX), 만트라 (OM), 하이파이 (HIFI), 아발란체 (AVAX)

▢ 탈중앙화 분산형 네트워크 코인 (DePIN - Decentralized Physical Infrastructure Network)

물리적인 인프라와 관련된 분산형 네트워크로, 저장, 계산 능력 등의 자원을 분산화하여 제공.

렌더토큰 (RNDR), 쎄타 (THETA), 골렘 (GLM), 시아코인 (SC), 앵커 (ANKR), 스토리지 (STORJ), 아카시 네트워크 (AKT), 비트센서 (BIT), 아이오타 (IOTA), 아이오텍스 (IOTX)

▢ AI 코인 (AI Coins)

인공지능 기술과 결합된 암호화폐로, AI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거나 데이터 분석과 머신러닝 관련 작업을 수행하는 데 사용.

월드코인 (WLD), Fetch.ai (FET), 렌더토큰 (RNDR), 아이큐 (IQ), 더 그래프 (GRT), 비트센서 (BIT), 델리시움 (DELY), 아캄 (ARKM), 뉴메레르 (NMR), 코르텍스 (CTXC), 아이젝 (RLC), 폴라리스쉐어 (POLA) , 카브 (CARV)

▢ 게임/NFT/메타버스 코인 (Game/NFT/Metaverse Coins)

게임, NFT, 메타버스와 관련된 생태계에서 사용되는 암호화폐로, 디지털 자산 거래와 가상 환경 구축에 활용.

빔 (BEAM), 이뮤터블엑스 (IMX), 빅타임 (BIGTIME), 게임빌드 (GBV), 블러 (BLUR), 에이프코인 (APE), 엑시인피니티 (AXS), 디센트럴랜드 (MANA), 샌드박스 (SAND), 칠리즈 (CHZ), 보라 (BORA), 스테픈 (GMT), 플로우 (FLOW), 위믹스 (WEMIX), 갈라 (GALA), 쎄타 (THETA), 엔진코인 (ENJ), 모스코인 (MOC), 왁스 (WAXP)

▢ 구코인 (2017년 인기 코인) (Old Coins)

2017년 암호화폐 열풍 당시 인기를 끌었던 코인들로, 오랜 기간 동안 시장에서 유지되고 있는 암호화폐.

에이다 (ADA), 리플 (XRP), 비트코인캐시 (BCH), 스텔라 (XLM), 스테이터스 네트워크 토큰 (SNT), 퀀텀 (QTUM)

▢ 비트코인 계열 코인 (Bitcoin Fork Coins)

비트코인 코드베이스를 기반으로 하여 비트코인에서 포크된 암호화폐.

비트코인 (BTC), 비트코인캐시 (BCH), 비트코인골드 (BTG), 비트코인SV (BSV), 이캐시 (XEC)

▢ 비트코인 레이어 2 코인 (Bitcoin Layer 2 Coins)

비트코인 네트워크의 확장성을 높이기 위해 설계된 레이어 2 솔루션으로, 주로 빠른 트랜잭션과 비용 절감을 목표로 함.

스택스 (STX)

▢ 이더리움 레이어 2 코인 (Ethereum Layer 2 Coins)

이더리움 블록체인의 트랜잭션 속도와 확장성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레이어 2 솔루션.

아비트럼 (ARB), 옵티미즘 (OP), 타이코 (TAIKO)

▢ Web3.0 코인 (Web 3.0 Coins)

탈중앙화 웹(Web 3.0) 생태계 구축을 위해 설계된 암호화폐로, 사용자 데이터 소유권, 프라이버시, P2P 애플리케이션 지원 등을 목표로 함.

스토리지 (STORJ), 베이직어텐션토큰 (BAT), 파일코인 (FIL), 골렘 (GLM), 유엑스링크 (UOS), 하이브 (HIVE), 시아코인 (SC), 스팀 (STEEM), 시빅 (CVC), 스테이터스 (SNT), 쎄타 (THETA), 플로우 (FLOW), 카바 (KAVA), 더 그래프 (GRT), 비트토렌트 (BTT) , 넴 (XEM)

▢ 저장 및 클라우드 코인 (Storage & Cloud Coins)

분산형 스토리지와 클라우드 컴퓨팅 기능을 제공하는 암호화폐로, 중앙 서버 없이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처리하는 것을 지원.

앵커 (ANKR), 스토리지 (STORJ), 골렘 (GLM), 시아코인 (SC), 파일코인 (FIL), 비트토렌트 (BTT)

▢ DID 코인 (신원증명) (DID - Decentralized Identity Coins)

탈중앙화된 신원 증명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암호화폐로, 개인의 데이터와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면서 신원을 확인하는 기능 제공.

월드코인 (WLD), 시빅 (CVC), 이더리움네임서비스 (ENS), 스페이스아이디 (ID), 메디블록 (MED), 메타디움 (META), 아이콘 (ICX)

▢ 대출 관련 코인 (Lending Coins)

블록체인 기반 대출 플랫폼에서 사용되는 암호화폐로, 탈중앙화된 대출과 차입 서비스를 지원.

하이파이 (HIFI), 에이브 (AAVE)

▢ 탈중앙화 거래소 토큰 (DEX Tokens)

탈중앙화 거래소(DEX)에서 거래와 유동성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토큰.

드리프트 (DRIFT)

▢ 중앙화 거래소 토큰 (Centralized Exchange Tokens)

중앙화 거래소에서 발행한 토큰으로, 거래 수수료 할인, 보상 프로그램, 거래소의 생태계 참여 등의 용도로 사용.

바이낸스코인 (BNB), 유니스레오 (LEO), 크로노스 (CRO), OKB (OKB), 비트겟토큰 (BGB), 쿠코인토큰 (KCS)

▢ 국내 관련 코인 (Korea-related Coins)

한국에서 개발되었거나 한국 시장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암호화폐.

카이아 (KAI), 엠블 (MBL), 위믹스 (WEMIX), 보라 (BORA), 토카막 네트워크 (TON), 페이코인 (PCI), 밀크 (MLK), 메디블록 (MED), 아이콘 (ICX), 디카르고 (DKA), 무비블록 (MBL), 아하토큰 (AHT), 메타디움 (META), 아르고 (ARGO), 알파쿼크토큰 (AQT), 피르마체인 (FCT), 코박토큰 (KOK)

▢ 중국 관련 코인 (China-related Coins)

중국에서 개발되었거나 중국 시장과 관련이 깊은 암호화폐.

네오 (NEO), 퀀텀 (QTUM), 트론 (TRX), 비트코인캐시 (BCH), 비트코인SV (BSV), 저스트 (JST), 온톨로지 (ONT), 가스 (GAS), 비트토렌트 (BTT), 비체인 (VET), , 썬더토큰 (TT), 쿼크체인 (QKC), 이오스 (EOS)

▢ 미국, 일본 관련 코인 (America , Japan-related Coins)

미국이나 일본에서 개발되었거나 해당 국가와 관련이 있는 암호화폐.

시아코인 (SC) , 아스타 (ASTR)

▢ 솔라나 생태계 코인 (Solana Ecosystem)

솔라나 블록체인 생태계 내에서 작동하는 암호화폐로, 솔라나 기반의 디앱(dApp) 및 프로토콜에서 사용.

주피터 (JUP), 도그위드캣 (DOG), 봉크 (BONK), 팝캣 (POPCAT), 캣인어독스월드 (mew), 세럼 (SRM), 루나 (LUNA), 체인링크 (LINK), 더 그래프 (GRT), 시빅 (CVC)

▢ 이더리움 생태계 코인 (Ethereum Ecosystem)

이더리움 블록체인 생태계에서 운영되는 암호화폐로, 이더리움 네트워크에서 다양한 디앱(dApp) 및 스마트 계약에 활용.

맨틀 (MNT), 시바이누 (SHIB), 월드코인 (WLD), 다이 (DAI), 아비트럼 (ARB), 이더리움네임서비스 (ENS), 온도 (ONDO)

댓글